중구 도원동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3-04 15:31:28
(뿌리를 찾고) 중구 도원동
인천광역시 중구 도원동은 조선후기 다솜면 장천리와 독각리의 일부였다..
장천리는 우리말로 장사래마을이며, 이 일대를 흐르던 개울이 길다.(도서 페이지)
선(얻다)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오늘날에도 독각교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는 독각리,
(하나의 긴 보드로 연결된 다리)한국어 단어 의미 (옆다리)나온 이론
독이 있는 교각을 세운 데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장천리와 독각리는 지금의 숭의동 일대에 있어 다리를 건너야 한다.
개통이 있었다는 뜻입니다., 개울이 덮여 흔적을 찾을 수 없습니다.
1906년도산리는 1998년 이 두 곳의 일부를 철거해 다시 조성됐으며 해방 후 도원동이 됐다..
도산도 도원도 이곳이 복숭아밭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도원동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그리고 해방 후에도 도심의 변두리였기 때문에
감염환자 격리·치료하는 병원 (덕생원)그리고 화장터가 있었다.
도원동 야구장 1920년19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야구의 본고장 인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현 제물포고의 위치 (어터골) 분지의 공공 놀이터 건설,
이 운동장이 만들어지자 인천에 있던 배재학교가 서울로 이전했다., 중앙고등학교 등을 다녔다.
(경인철도 장학생 장학금)야구팀 (한용단)만들어진.
한용단에는 유명한 선수들이 많아서 거의 항상 일본팀을 꺾고 억눌린 민족의식을 되살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 때문에 당시 서민들의 야구에 대한 열정은 오늘날의 프로야구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고 한다..
인천 야구의 기원은 한용단이다. 1934년1998년 웃터골공설운동장이 도원동으로 이전된 후에도 여전히 활기 넘치는 곳이었습니다.
인천고와 동산고 야구단은 한동안 전국체전과 청룡기 대회를 번갈아 가며 저력을 과시했다..
( 최재용 기자 )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