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떡해! 건설 위기감 커지고 있다” 한은 재무안정보고서

“부동산 시장 위축 여파

건설사·비은행 부문 부실 위험 커져”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리스크 관리에 유의하고 지원 고려”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미분양 주택 폭증으로 건설업 경영환경이 악화돼 일부 건설사 도산 위험까지 커진 연구 결과가 나왔다.

증권사·여전사·저축은행 등 비은행금융기관이 수익성 제고를 위해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스) 대출을 늘린 데 따른 리스크도 커졌다.


"어떡해! 건설 위기감 커지고 있다” 한은 재무안정보고서 1 건설업계 위기감 커져"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data-filename="상장 건설기업의 재무 건전성·재무 취약 기업 비중_00003 (1).jpg" data-origin-width="629" data-origin-height="438">
국민일보 kcontents 편집

한국은행은 23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건설사와 비은행권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진단했다.

“건설사 재무 건전성 악화…지역·소상공인에 특히 위험”

한국은행은 연차보고서를 발간한 비금융 상장사 2392개사 중 72개 건설사를 분석해 지난해 1∼3분기 상장 건설사들의 상환능력과 유동성, 안정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영업이익만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취약기업의 비중은 지난해 9월 기준 36.1%로 2021년 말 28.9%보다 높아졌다.

같은 기간 유동성이 우려되는 기업의 비율은 13.3%에서 18.1%로 증가했다.

유동성지향형 기업은 유동성 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으로 1년 이내에 갚을 수 있는 유동부채가 1년 이내에 청산할 수 있는 유동자산보다 많은 기업을 말한다.


"어떡해! 건설 위기감 커지고 있다” 한은 재무안정보고서 2 건설업계 위기감 커져"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data-filename="상장 건설기업의 재무 건전성·재무 취약 기업 비중.jpg" data-origin-width="768" data-origin-height="420">

부채비율(부채/자본)은 지난해 9월 말 107.9%로 2021년 말 97.4%보다 높아졌다.

2021년 말까지 27.7%.

건설업체의 평균 도산위험(1년 뒤 도산할 확률)은 0.613%로 2021년 말(0.603%)에 비해 소폭 증가했고, 도산위험(1년 뒤 도산할 확률) 기업의 비율은 5% 초과)는 2.8%로 전년 수준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일부 주택건설업체들은 거액의 부동산 PF 대출에 대해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어 우발채무가 현실화될 경우 파산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어떡해! 건설 위기감 커지고 있다” 한은 재무안정보고서 3 건설업계 위기감 커져"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data-filename="상장 건설기업의 재무 건전성·재무 취약 기업 비중_00000.jpg" data-origin-width="768" data-origin-height="420">

조사 결과 상장 건설사 중 32개사는 PF대출 및 유동화증권에 대해 채무보증을 제공했고 일부 기업은 자기자본의 2배를 초과하는 PF 채무보증을 제공했다.

---새콘텐츠반응-->

기타 모든 보증을 포함합니다.

나. 중도금 대출에 대한 보증,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를 보유한 기업은 44개사이며, 약 10%는 자기자본의 5배를 초과하는 우발채무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수도권에 기반을 둔 대기업·중소 건설사보다 지방 중소 건설사들이 한계기업과 부도 위기 기업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은행은 “자구책을 전제로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에 처한 건설사에 대한 조건부 지원을 검토하는 한편 부도 위험이 높은 건설사 및 관련 PF현장에 대한 미시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어떡해! 건설 위기감 커지고 있다” 한은 재무안정보고서 4 건설업계 위기감 커져"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data-filename="상장 건설기업의 재무 건전성·재무 취약 기업 비중_00001.jpg" data-origin-width="768" data-origin-height="420">

“부동산PF 비은행 익스포저 증가…사업장 리스크↑”

한국은행에 따르면 비은행권 부동산의 PF 익스포저가 확대된 가운데 PF 대출 연체율을 높이는 등 부실 위험이 커졌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비은행 부동산 PF 총액은 115조5000억원으로 대출 91조2000억원, 유동화채무보증 24조3000억원이었다.


"어떡해! 건설 위기감 커지고 있다” 한은 재무안정보고서 5 건설업계 위기감 커져"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data-filename="상장 건설기업의 재무 건전성·재무 취약 기업 비중_00002.jpg" data-origin-width="768" data-origin-height="466">

PF대출의 상환위험도 커졌다.

부동산 PF 대출의 자산 건전성은 대부분의 업종에서 악화되었으며, 특히 투자회사 PF 대출의 연체율은 2021년 말 3.7%에서 9월 말 8.2%로 증가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지점별 핵심지표를 점검한 결과 2020년 말 이후 비은행기관이 연루된 PF 지점의 위험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위험도 평균은 2020년 말 53.7%, 2021년 말 58.0%, 지난해 9월 67.0%로 높아졌다.

비은행PF사업장 위험/자본비율 감소 정도(한국은행 제공. 전매 및 DB 금지)

한국은행이 PF 일자리 부실로 인한 비은행금융기관의 회복탄력성 저하 정도를 조사한 결과, 비은행금융기관의 총자본비율은 규제비율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가혹한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는 예외적인 상황에서 금융기관은 규제할당에 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은 비은행권 부동산PF의 리스크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고 여건을 변경해 부실 PF 일자리 청산 지연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화해 원활한 구조조정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민간 부문에서.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email protected]



"어떡해! 건설 위기감 커지고 있다” 한은 재무안정보고서 6

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8193

K 콘텐츠